전체 글 23

사주체계와 사주팔자 자리의 의미

2025년이 되어서야 글을 다시 적습니다.작년 말부터 시작해서 2025년 1월 초까지는 많은 일들이 있어서글을 적지 못했어요~우리 아이가 폐렴에 걸려 병원에 입원하기도 하고이사 관련으로 해서 서류적으로 처리해야할 일들도 있었고뭐....많은 일들이 한꺼번에 처리해 내느라블로그를 열어보지를 못했습니다.이번 글은 사주체계와 사주팔자의 자리의 의미에 대해서 글을 적어보겠습니다.사주가 재미있는 것은 인간의 어떤 기운을 타고 났기 때문에그걸 대입을 해보고 또 해석도 해보고 하는거잖아요..어느 누군가는 재미로만 볼 것이고어느 누군가는 절실해서 볼 것이고어느 누군가는 독실한 신념을 가지고 볼 것입니다.물론 사주 명리를 점술과 미신과 같아서믿질 않는 분들도 계실거이구요하지만 사주명리는 정말 신기하고 또 신비롭습니다.우리..

천간과 오행5 - 무토(戊土)

천간의 다섯번째에 해당하는 간지 무토(戊土)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다섯번째 천간인 무(戊)오행 토(土)이구요양의 본질과 양의 성향을 가지고 있습니다.십신으로 보면 편인의 의미이구요기운은 100에서 10000으로 확장을 하는 힘을 가지고 있습니다.병화(丙火)의 단계에 기운을 100으로 올려서정화(丁火)의 단계에서는 극하게 올린 병화(丙火)의 힘을강하게 유지하듯이 뭉칩니다.그런 뭉친 힘을 무토(戊土) 에서는 사방으로 확장을 하는 겁니다.기호로는 ←↕→ 입니다.오행 목(木)은 수직적인 에너지라고 한다면오행 토(土)는 수평적이며 사방으로 퍼지는 에너지라고 보면 됩니다.우리 지구에서 수평적 에너지를 살펴보면바로 넓은 대륙이라고 할 수 있죠땅이 넓으니까 넓게 확장된 터전이 되는 힘이고포용의 힘 혹은 넓은 아량이라..

천간과 오행4 - 정화(丁火)

천간의 네번째에 해당하는 간지 정화(丁火)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네번째 천간인 정(丁)오행 화(火)고요, 양의 본질과 음의 성향이 있습니다.십신으로 보면 정관의 의미입니다.기운은 1에서 100으로 추동하는 것이 아니라1에서 100을 유지하는 힘이 정화(丁火)다.그리고 음양적인 측면에서는 오행 화(火)가 음적으로 발현됩니다.즉 음간이라는 이야기인것이죠물상은 병화(丙火)가 태양이라면정화(丁火) 는 은은한 조명 그리고 실질적으로 열을 전달하는 난로의 물상으로 볼 수가 있습니다.여기서 잠깐! Q & AQ. 대운에서 병화(丙火) 운이 오면 어떤 건가요?A. 대운이나 세운에 병화(丙火) 운이 온다는 것은 드러나는 것을 의미합니다.그대로 연결시키면 됩니다. 대운의 병화(丙火)운이 왔다 그러면 내가 나 자신을 드러내..

천간과 오행3 - 병화(丙火)

안녕하세요~현s맘입니다^^오늘은 천간의 세번째 병화(丙火) 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세번째 천간인 병(丙)오행 화(火)고요. 양의 본질과 양의 성향이 있습니다.기운은 1을 100으로 만들어버리는 거예요.만드는 방식이 갑목(甲木)처럼 추동하는 방식으로 만든다.음양은 오행 이제 화의 양간이라는 말이에요. 양적 발현된다과 할 수 있구요물상은 당연 태양으로 볼 수 있습니다. 양중의 양이 뭐냐 그러면 지구의 관점, 우주적인 관점에서도 항성이죠.스스로 빛을 내는 태양입니다. 병화(丙火) 는 1에서 100으로 추동합니다.정말 성향과 본질이 명확하게 드러나요? 병 왜 명확하게 드러날까요?병(丙) 오행 화(火)니까 드러내는 게 포인트예요.그래서 발산의 포인트다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병화는 뭐냐? 발산하는 것 어떻게 발산..

천간과 오행2 - 을목(乙木)

을목(乙木)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오행은 목(木)이고요.본질은 양의 본질과 음의 성향을 가지고 있습니다.십신은 정재와 많이 닮았다고 생각하면 됩니다.완연한 봄을 유지하는 힘이다라고 정리할 수 있겠습니다.음양으로 따져보면 목에서 음적인 힘이 바로 을목(乙木)이죠.을목(乙木)은 옆으로 완연하게 퍼지는 힘이 있으며화살표의 방향이 " ↑ "에서  " ←,→ " 으로 바뀌는 겁니다.을목(乙木)의 성질을 가장 잘 표현할 수 있는물상이 덩굴식물입니다.덩굴식물이 자라나는 것을 본적이 있으신가요?덩굴식물은 앞에 걸림돌이 있으면 어떻게 되는지 아십니까?바로 그 걸림돌을 휘감아서 품고 더 퍼져나아갑니다.걸림돌을 만나면 옆으로 퍼져 나가며 자신의 영향력을확장하는 덩굴식물의 모습은 을목..을목(乙木)의 정체성을 잘 보여줍니다...

천간과 오행1 - 갑목(甲木)

오늘은 천간에 대해서 10가지 천간에 대해서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명리에서는 22개의 간지가 있다고 합니다.천간이 10개지지가 12개위 천간과 지지 22개의 단어를 잘 탐구해서많은 문제들을 적절히 슬기롭게 지혜롭게해결할 수 있습니다.천간 10개와  지지 12개 가 있는데사실 지지 12개는 천간을 조합해 놓은 것에 불과합니다.천간을 그대로 조합해 놓은 것이 지지 12개예요.그래서 결론은 뭐냐면 천간 10개를 제대로 잘하는 게 정말 중요하다.먼저 천간 10개 중갑목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오행은 목(木)이고요. 본질은 양의 본질과 양의 성향을 가지고 있습니다.십신은 편재와 많이 닮았다고 생각하면 됩니다.하나를 추동하는 힘이다 라고 정리할 수 있겠습니다.음양으로 따져보면 목에서 양이 양적인 힘이 바로 갑목(甲木..

간지(干地) - 천간(십간,天干)

간지(干地)는 천간(天干)과 지지(地支)로 구분되어 있습니다.그럼 왜 천간(天干)과 지지(地支)로 나누었을까요?바로 음양의 조화에서 질서라고 볼 수 있는데예를 들어 천간에 갑(甲)과 지지에 자(子)를 보면갑자(甲子)는 하나의 독립적인 단위이지만그 안을 자세히 살펴보면 천간과 지지의 조합으로 이루어져 있고갑(甲) 과 자(子) 의 조합으로하나의 독립적인 단위가 만들어지는 것입니다.즉, 음양의 상호작용이라는 질서가 녹아있는 것이동양 사상의 핵심이고, 바로 간지의 조합입니다.갑(甲)은 양을 의미하고자(子)는 음을 의미합니다.이러한 상호작용즉, 음양의 상호작용이 갑자(甲子)라는하나의 완성된 기운을 만들어 내는것입니다.어느 하나의 것도 혼자서는 힘을 발휘하지 못하며글자가 조화롭게 만나서 이루어져야그 힘을 제대로 발..

오행이란?

우주를 움직이는 5가지 기운오행의 정의우주에는 다섯개의 기운이 존재하고 , 이 기운들이 서로 이끌어주고 대립한다는 것이 오행의 기본개념입니다.이 오행을 "다섯가지 물질"로 이해하는 경우도 있지만, 오행 五行은 "행行"이라는 한자에서도 알 수 있듯이 물질이 아니라행동양식 혹은 기운을 의미합니다.오행은 목木, 화火, 토土, 금金, 수水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우주를 이분법으로 체계로 이해한 것이 음양이라면,우주를 다섯 개의 체계로 이해한 것이 오행입니다.오행에서의 규칙성 세분화하면오행의 특성목木인자하고 어질며, 인간에 대한 따뜻한 마음을 품고 있다.이상주의적인 성향, 생동감, 진취적,기획에 관심 많다.화火자신을 드러내려는 성향이 강하며 감정적이고 즉흥적이다.인사를 잘하며, 자신의 영향력을 증명하려는 성향이 있..

사주와 명리학 그리고 나의 생각

인터넷 블로그들을 검색하다보면명리에 대해서 많은 이야기들을 담고 있습니다.사주란 무엇인가?명리는 학문인가? 미신인가?사주팔자란?음양오행이란?천간과 지지등등사주를 단순히 공부한 사람들도 있고전문적으로 업으로 운영하는 사람들도 있고참 많은 사람들이 있습니다물론 저도 그 중에 한사람이구요..저는 다른 사람들이 올려놓은 글을 복사하려고하는 것이 아니라제가 지금 배우고 있는 스승님의 관법으로 명리의 이야기를 적어보려고 하는 취지이니다른 분들과의 의견이 다를 수 있는 점 이해부탁드립니다.먼저 음양오행 중 음양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유동하는 음과 양음과 양모든 것의 근간을 이루는 개념으로어둠과 빛의 구분에서 시작되었지요.누구나 관찰할 수 있는 밤과 낮, 겨울과 여름, 어둠과 밝음의 대립에서시간이 흐르면 흐를수록 다..

권리의변동

의의법률관게 및 그 내용으로서의 권리가 변동된다는 것은 일정한 원인에 의하여 일정한 결과가 생기는 것을 말한다.법률요건=법률행위 또는 법률규정법률효과=법률관계의 발생 / 변경 / 소멸법률행위의사표시를 불가결의 요소로 하는 법률요건법률행위로서 '성립'하여야 하고, 성립된 법률행위가 '유효' 한것이어야 한다.법률행위의 성립요건은 법률행위의 효과를 주장하는 자가 입증하여야 한다.법률행위의 효력요건일반효력요건 당사자는 각종의 능력이 있어야 한다.권리능력 / 의사능력 / 행위능력법률행위의 목적(내용)이 아래의 4가지 사항을 갖출 것.확정성실현가능성적법성사회적타당성의사와 표시가 일치하여야 하고, 형성과정에 하자가 없어야 한다.특별효력요건대리권의 존재조건부 및 기한부 법률행위에 조건의성취 또는 기한의 도래유언에서 유..

법이야기/민법 2024.1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