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주명리학이야기

사주와 명리학 그리고 나의 생각

현's엄마 2024. 10. 30. 12:08

인터넷 블로그들을 검색하다보면
명리에 대해서 많은 이야기들을 담고 있습니다.
사주란 무엇인가?
명리는 학문인가? 미신인가?
사주팔자란?
음양오행이란?
천간과 지지
등등


사주를 단순히 공부한 사람들도 있고
전문적으로 업으로 운영하는 사람들도 있고
참 많은 사람들이 있습니다
물론 저도 그 중에 한사람이구요..
저는 다른 사람들이 올려놓은 글을 복사하려고
하는 것이 아니라
제가 지금 배우고 있는 스승님의 관법으로 
명리의 이야기를 적어보려고 하는 취지이니
다른 분들과의 의견이 다를 수 있는 점 이해부탁드립니다.


먼저 음양오행 중 음양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유동하는 음과 양
음과 양
모든 것의 근간을 이루는 개념으로
어둠과 빛의 구분에서 시작되었지요.
누구나 관찰할 수 있는 

밤과 낮, 겨울과 여름, 어둠과 밝음의 대립에서시간이 흐르면 흐를수록 다양한 의미로 발전해가고 있습니다.어떤 특정단어를 찾는 거 보다우리가 살아가고 있는현재도 바로 몸으로 닿고 있는남성과 여성, 해와 달, 채우는 것과 비우는 것인간의 행동양식과 정서까지도 음과 양으로 정리할 수 있겠네요.그럼 이 모든걸 어떻게 통찰할 수 있을까요?바로 우주.

모든 우주의 변화,
즉 태양에너지를 많이 받는것과 적게 받는것으로 나눈다면
지구와 태양과의 관계를 단순화했을때는 어찌될까요?
음양은 우리 눈앞의 현실이자, 눈에 보이지 않는 곳에서 작용하는 법칙이자, 
지구의 운행에서 비롯한 변하지 않는 법칙인것입니다.
음양, 조화와 균형

음 陰양 陽
가을, 겨울봄, 여름
수렴발산
내려감솟아오름
비움채움
계곡
바다태양
일몰일출
여자남자
부드럽다거칠다
느림빠름
심사숙고충동적

음양의 상징
태극

* 음에서 양이 싹트고, 양은 차오르면 음으로 돌아간다. *
극단으로 치솟은 힘을 되돌려 가라앉히는 힘(음)
바닥으로 거꾸러진 힘을 다시 살아나게 하는 힘(양)
멈춘 것에 변화를 주고, 변화한 것은 다시금 제자리로 돌리는 힘(음과 양의 상호작용)
고정되어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음양의 철학이 우리에게 주는 통찰은 분리가 아니라 "조화" 와 "균형"입니다.
<음은 하강하려는 힘을 의미하고 , 비워내려는 운동성을 상징한다.>

음의 하강

즉, 음은 끊임없이 양과 교류하는 과정을 통해 양의 기운을 흡수하여 힘을 응축합니다.
 
<양은 상승하려는 힘을 의미하고 채우려는 운동성을 상징한다.>

양의 상승

즉, 양은 끊임없이 음과 교류하는 과정을 통해 음의 기운을 양분삼아 힘을 발산합니다.
 


우주의 이치는 음과 양의 조화
음은 양을 지향하고, 양은 음을 지향하는 과정을 통해 모든 존재가 가능합니다.
존재하는 모든 것은 음양의 과정 중에 있습니다.
너무 치우친 양은 음을 향하고
너무 치우친 음은 양으로 향하는 과정이 곧 삶이자, 모든 변화입니다.
 
인간이 가진 기운을 음양으로 분석한 이후에
우리가 지닌 음과 양의 농도와 변화를 통해
삶을 이해하고 미래를 고민하는 것이 명리학입니다.
 - 현묘의 사주명리학 - 
 
** 본 내용은 현묘의 사주명리 강의에서 나온 것과 작성자가 만든 이미지로 무단 공유 및 복제를 금하며, 출처나 허락없이 무단으로 배포시 법적으로 처벌될 수 있습니다.

'사주명리학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천간과 오행1 - 갑목(甲木)  (3) 2024.12.06
간지(干地) - 천간(십간,天干)  (4) 2024.11.18
오행이란?  (6) 2024.11.14
사주와 명리학  (7) 2024.10.08
나에게 사주란?  (2) 2024.09.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