을목(乙木)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오행은 목(木)이고요.
본질은 양의 본질과 음의 성향을 가지고 있습니다.
십신은 정재와 많이 닮았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완연한 봄을 유지하는 힘이다
라고 정리할 수 있겠습니다.
음양으로 따져보면 목에서 음적인 힘이 바로 을목(乙木)이죠.
을목(乙木)은 옆으로 완연하게 퍼지는 힘이 있으며
화살표의 방향이 " ↑ "에서 " ←,→ " 으로 바뀌는 겁니다.
을목(乙木)의 성질을 가장 잘 표현할 수 있는물상이 덩굴식물입니다.
덩굴식물이 자라나는 것을 본적이 있으신가요?
덩굴식물은 앞에 걸림돌이 있으면 어떻게 되는지 아십니까?
바로 그 걸림돌을 휘감아서 품고 더 퍼져나아갑니다.
걸림돌을 만나면 옆으로 퍼져 나가며 자신의 영향력을
확장하는 덩굴식물의 모습은 을목..을목(乙木)의 정체성을 잘 보여줍니다.
덩굴식물의 힘
갑목(甲木)과 을목(乙木)은 모두 오행 목(木)에 해당합니다.
다른 점은
갑목(甲木)은 양의 기운
을목(乙木)은 음의 기운
양의 본질이라는 점은 같지만표현양상이 양이냐 음이냐 다르게 나타난다는 것입니다.양의 기운이 겉으로 드러내고 발산한다고 본다면음의 기운은 안으로 숨어들고 수렴한다고 볼 수 있다.
을목(乙木)은 갑목(甲木)처럼 진취적인 힘을 가지고 있습니다.
갑목(甲木)의 힘이 튀어오르고 돌파해 내면서 앞으로 나아가는 것이라면
을목(乙木)의 힘은 주변을 하나씩 장악해 가면서 옆으로 퍼져나가는 힘이라고 볼 수 있다.
또한 을목(乙木)은 걸림돌에 착 달라붙어 걸림돌과 하나가 되어 걸림돌을 넘듯이
환경을 이용하고 극복하는유연한 진취성은 을목(乙木)이 가진 최고의 덕목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
·
갑목(甲木)의 진취성이 그대로 돌진하여 적을 공격하면서
직선적이고 저돌적인 방식이라면
을목(乙木) 의 진취성은 적의 약점을 파고 들어서
적을 무너뜨리는 유연한 방식을 가지고 있다.
공정한 도움
조직과 주변환경의 상황을 판단하고 약자를 돕습니다.
무리하지 않고 합리적인 방식으로 약자를 도우려 노력하고
현실적이고 조직의 이익에 반하지 않아서
지속적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을목(乙木)이 발휘하는 리더쉽은 조직의 융화와 발전에도
큰 도움이 되고 평등하고 공정하게
자신이 줄 수 있는 만큼의 도움을 주기 때문입니다.
을목(乙木)의 실속있는 리더쉽은 부족한것을 조금씩 채우는 방식이라고
갑목(甲木)의 폭박적인 성장을 이끌어내는 리더쉽과는 큰 차이가 있다고 보면 됩니다.
갑목(甲木)의 좌우명 : "주눅들지말자!"
을목(乙木)의 좌우명 : "하나를 주고 둘을 얻는다!"
부족한 결단력
을목(乙木)은 아이디어를 내고 정교하게 다듬는 힘이 있습니다.
세상에 대한 진심어린 애정을 바탕으로 새로움을 향해서 정진하는 힘 또한
을목(乙木)의 자랑이라고 할 수 있어요.
갑목(甲木)이 새로운 것을 탐구하는 데 애를 쓴다면
을목(乙木)은 이미 발견된 것을 발전하고 확장하는데 애를 쓴다고 보면 됩니다.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세심함과 꼼꼼함이 늘 뒷받침 되어야 하고
아이디어를 실행하기 위해서 조율하고 설득하는 것은
을목(乙木)이 제일 잘 하는 일이 될것입니다.
하지만 을목(乙木)은 시작은 미약하나 끝의 마무리를 잘하지만
어떤 상황에서 마무리에서 결단력이 필요할 때에는
결단력이 부족한 탓에 끝맺음이 약할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여러 이해관계를 조율하고 설득하는것에 온 집중이 되어
제대로 된 결과를 끌어내지 못함이 되는 것입니다.
을목(乙木)은 다른사람과의 관계에서 자기자신을 드러내고자 하며
강한사람이나 힘이 있는 조직에 기대서도 자신의 역량을 발휘하려고 합니다.
을목(乙木)은 전면에 나서기 보다는 누군가의 도움으로 그걸 이용하여
실속을 차리는 것에 관심이 있기 때문에
누군가가 먼저 나서주기를 바라는 것이 을목(乙木)의 심리입니다.
꾸준히 노력해서 무언가를 채워나가는 것을 재미로 살아가고
묵묵히 궂은 일을 하면서 작은 것을 착실히 쌓아야 크게 이룰 수 있다는
성실하고 꾸준한 태도를 가지는 끈기가 있는 것이 최고의 장점입니다.
< 참고서적 >
[현묘의 사주명리] , [명리 기본편] , [심화편] 강헌, [춘하추동 신사주학] 박청화, [운명의 해석, 사주명리] 안도균
** 본 내용은 현묘의 사주명리 강의에서 나온 자료와 이미지, 작성자(현s맘)가 만든 이미지로 무단 공유 및 복제를 금하며, 출처나 허락없이 무단으로 배포시 법적으로 처벌될 수 있습니다.
'사주명리학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천간과 오행4 - 정화(丁火) (7) | 2024.12.16 |
---|---|
천간과 오행3 - 병화(丙火) (3) | 2024.12.08 |
천간과 오행1 - 갑목(甲木) (3) | 2024.12.06 |
간지(干地) - 천간(십간,天干) (4) | 2024.11.18 |
오행이란? (6) | 2024.11.14 |